추진목적
에너지절약·효율향상, 기후변화협약, 신재생에너지를 아우르는 다양한 과정을 교육 수요자별 맞춤형 교육으로 실행하여 한국판 뉴딜 및 2050 탄소중립 등 에너지 환경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에너지·기후변화 전문인력 양성
사업개요
사업정의
공공, 직무, 전문역량, 동반성장, 법정, 양성, 일자리창츨 등 7개 부문 에너지전문교육 과정 운영
부문 | 교육과정 | 교육대상 |
---|---|---|
공공교육 (통합과정) |
지역에너지 담당공무원 교육 | 지자체 에너지 담당공무원 |
지역에너지계획 수립과정 교육 | ||
공공기관 에너지담당자 교육 | 공공기관 에너지담당자 | |
직무교육 (기본과정) |
에너지정책의 이해 | 공공·민간 교육희망자 |
2050 탄소중립 대응전략(신재생) | ||
2050 탄소중립 대응전략(뉴딜) | ||
건물에너지 효율향상 | ||
신재생에너지 사업의 이해 | ||
직무교육 (심화과정) |
신재생에너지 기술의 현황과 전망 | 공공·민간 교육희망자 |
에너지저장 기술의 현황과 전망 | ||
제로에너지 건축시장과 기술요소 | ||
전문역량 (Synergy3020) |
RE100 달성을 위한 차세대 전력시장 | 공공·민간 교육희망자 |
미래 모빌리티 산업 현황 및 기술개발 전망 | ||
ICT 기술의 에너지 사업적용 및 스마트 시티 교육 | ||
에너지 기업의 해외진출 노하우 | ||
2050 탄소중립을 위한 기후변화대응전략 | ||
수소와 기술의 이해 | ||
동반성장 (With You) |
전기부문 에너지절감 교육 |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|
열부문 에너지절감 교육 | ||
ICT 시스템 및 모니터링을 활용한 에너지 진단 기술 |
||
폐열회수설비 에너지절감 방안 | ||
에너지절감 방안 | ||
동력설비 에너지절감 방안 | ||
냉난방관리 및 IoT 기술을 활용한 건물·상점 에너지절감 솔루션 |
||
법정교육 | 에너지관리자 기본교육 | 에너지다소비업체 에너지 관리자 |
에너지기술인력 양성교육 |
인정검사대상기기 관리자 | 보일러 및 압력용기 관리 희망자 |
가스용보일러 관리자 | 가스용보일러 관리 희망자 | |
일자리창출 | 2022년 KEA 청년 드림캐쳐 | 에너지 유관기관 취업 희망자 |
* 교육과정은 추진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
사업대상
지자체 및 공공기관 에너지담당자. 공공 및 민간 분야 에너지 관련 업무 담당자 및 희망자 등
법적근거
에너지이용합리화법 제65조(교육) 및 산업통상자원부 고시 제2018-132호(2018.6.27) "에너지관리자 등의 교육시행에 관한 규정" 등