추진목적
에너지·온실가스 부문의 양·다자 국제협력을 통해 대외협력 기반을 강화하고, 국제협력 프로젝트를 추진하여 에너지·기후변화 정보 허브로서의 위상 제고 및 정보교류 활성화
제도 추진 경위
-
기후변화협약 정부 간 협상회의 지원
- - ’92 기후변화협약 및 ’97 교토의정서 채택
-
APEC(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) EWG(에너지실무그룹) 회의 지원
- - ’90년 발족, ’91년 싱가포르에서 1차 EWG 개최
-
IPEEC(에너지효율협력 국제파트너십) 회의 지원
- - ’08 日 아오모리 ‘G8+3(韓, 中, 印) 에너지장관회의’에서 일본이 제안
- - ’09 伊 로마 ‘G8 에너지장관회의’에서 공식 발족
-
국제기구와의 협력기반 구축 및 협력사업 발굴
- - 국제기구와의 협력기반 구축 및 협력사업 발굴 위해 추진 (IEA, UNIDO 등)
주요사업
다자협력: 에너지효율 및 신재생에너지 분야 국제회의 참여를 통한 국제협력 네트워크 확대 및 협력의제 발굴
-
- - UN 기후변화협상 당사국총회 : ‘92년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한 온실가스 규제를 목적으로 체결된 UN 기후변화협약 관련 회의 참석 및 의제 대응
-
- - APEC(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) EWG(에너지실무그룹) : 에너지절약 및 신재생 분야 정보교류 및 협력
-
- - IEA(국제에너지기구) EEWP(에너지효율실무작업반) : OECD 국가간 에너지효율 분야의 정책 및 시책개발의 국제협력 총괄
-
- - IPEEC(에너지효율협력 국제파트너십) 정책위원회 및 집행위원회: 에너지효율분야 국제협력 강화를 위해 ’09.5월 G8 에너지장관회의에서 공식 발족
-
- - ASEAN+3 에너지협력(신재생/에너지효율 포럼): ASEAN 10개 회원국 및 한중일 동북아 3국간 공동 에너지 협력 추진
양자협력 : 양자간 에너지관련 정책 및 정보교류를 통한 협력 기반 구축 및 협력사업 발굴
-
- - 스리랑카 지속가능에너지청, 우즈베키스탄 경제부, 탄자니아 에너지광물부, 페루 에너지광업부, 캄보디아 광산에너지부(MEM) 등 다양한 해외 유관 기관·다자개발은행과 에너지효율 및 신재생에너지 분야 공동 협력사업 추진
제도의 개요
제도의 정의
주도적이고 체계적인 국제기구 협력사업 및 국제협력 등 에너지 및 온실가스 부문의 양·다자 국제협력을 통해 KEA의 국제적 위상을 강화
사업 및 국제협력 대상
UNFCCC, APEC EWG(에너지실무그룹), ASEAN CEFIA 및 신재생·에너지효율포럼, IEA, IPEEC, 미주개발은행(IDB) 등 국제기구·협의체·다자개발은행 등 해외 유관기관
법적근거
녹색성장법 제61조(국제협력의 증진), 에너지이용합리화법 제57조(사업) 및 31조(국내외 조사·연구 및 국제협력사업), 친환경산업법 제9조(국제협력의 촉진)